2000916e64aff3c2e17c5a101260089243fc0c40
\355\231\215\353\263\264-\353\224\224\354\236\220\354\235\270.md
... | ... | @@ -6,32 +6,32 @@ |
6 | 6 | |
7 | 7 | ## 시트지 |
8 | 8 | |
9 | -1. 소재 정의 |
|
9 | +### 소재 정의 |
|
10 | 10 | |
11 | 11 | 시트지(점착 시트지)란, 이형지(스티커 뒤에 붙어 있는 점착제 가 붙지 않는 종이)에 점착제를 바른 후, 열닥트를 통과하면서 적당히 건조하여 점착력이 있는 상태로 만들어, 시트지 원지(박리지 )와 합지한 것을 말한다. |
12 | 12 | |
13 | 13 |  |
14 | 14 | |
15 | -2. 주 소재 |
|
15 | +### 주 소재 |
|
16 | 16 | |
17 | 17 | 시트지의 주소재는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이하 PVC)이다. 폴리염화비닐(PVC)은 반액체(semi-liquid)의 특성이 있어 쉽게 펴고 늘릴 수 있는 가단성을 가지고 있다. 가단성은 플라스틱, 가소제(plasticizer)의 주요 특징으로 플라스틱, 폴리염화비닐(PVC)이 전 세계에 자리잡게 된 이유도 이러한 PVC의 특징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더불어 폴리염화비닐(PVC)은 열에 강하고 절연체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렇듯 폴리염화비닐(PVC)은 건축이나 케이블과 같은 기본 자재로 쓰이기도 하고 봉투나 장갑과 같은 일상 생활용품 등으로 넓은 영역에 분포해 있다. |
18 | 18 | |
19 | 19 | |
20 | -3. 전시에서의 시트지 사용 |
|
20 | +### 전시에서의 시트지 사용 |
|
21 | 21 | |
22 | 22 | 시트지는 레이저 컷팅으로 세밀한 글자와 그래픽적 표현이 가능하여 전시 캡션과 전시 제목 등의 레터링과 전시 디자인 뿐 아니라 전시 작품의 일부가 되기도 하며 다양한 월 그래픽의 재료로 쓰인다. |
23 | 23 | |
24 | 24 | |
25 | -4.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요인 |
|
25 | +###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요인 |
|
26 | 26 | |
27 | - a.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
|
27 | +####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OPs) |
|
28 | 28 | |
29 | 29 | 잔류성 유기오염물질(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이하 POPs)은 “forever chemicals”라고도 불리는데 그 이유는 생분해(biodegradation) 과정이 되지 않고 매우 오랜 시간 남아 있기 때문이다. 우리가 폴리염화비닐(PVC)을 쓰고 버리면 주로 태워서 처리가 된다. 이때 태워도 완전히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는 물질이 바로 미세 플라스틱(microplastic)이다. 미세 플라스틱은 폴리염화비닐(PVC)을 분해할 때 발생하는 POP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 |
30 | 30 | |
31 | - b. 프탈레이트(Phthalates) |
|
31 | +#### 프탈레이트(Phthalates) |
|
32 | 32 | 딱딱한 폴리염화비닐(PVC)플라스틱을 부드럽게 만들어주는 가소제다. 이 물질은 ‘내분비계 교란물질’(흔히 환경호르몬으로 알려져 있다)을 발생하며 카드뮴, 납 등의 유해 중금속이 안정제 또는 색소로도 사용된다. |
33 | 33 | |
34 | - c. 프탈레이트 기체 물질들 |
|
34 | +#### 프탈레이트 기체 물질들 |
|
35 | 35 | 폴리염화비닐(PVC)이 공기나 물에 노출이 되면 DEHP(diethylhexyl phthalate)나 BBzP(butyl benzyl phthalate) 같은 프탈레이트 기체 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스며들며 허공을 떠다니거나 먼지에 달라붙게 된다. 숨을 쉬거나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또는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우리는 이런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된다. |
36 | 36 | |
37 | 37 | 대안적 재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