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 ? %
비거니즘 전시 매뉴얼
\355\231\215\353\263\264-\353\224\224\354\236\220\354\235\270.md
... ...
@@ -34,91 +34,92 @@
34 34
#### 프탈레이트 기체 물질들
35 35
폴리염화비닐(PVC)이 공기나 물에 노출이 되면 DEHP(diethylhexyl phthalate)나 BBzP(butyl benzyl phthalate) 같은 프탈레이트 기체 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스며들며 허공을 떠다니거나 먼지에 달라붙게 된다. 숨을 쉬거나 음식을 섭취하는 과정에서 또는 피부와 접촉함으로써 우리는 이런 유해화학물질에 노출된다.
36 36
37
-대안적 재료
37
+### 대안적 재료
38 38
39
-비염소 비닐
39
+#### 비염소 비닐
40 40
41 41
‘비염소 비닐’이라 명명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PVC)의 대체 가능 재료에는 여러 종류가 있다. 그중에는 폴리비닐부티랄(Polyvinyl butyral, PVB),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 폴리에틸렌초산비닐(Polyethylene Vinyl Acetate, PEVA), 그리고 에틸렌초산비닐(Ethylene Vinyl Acetate, EVA)이 있다. 이 비염소 비닐의 이름과 기존비닐의 이름에서 가장 큰 차이점은 이름에 C가 없어진 점이다. 비염소 비닐의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폴리염화비닐(PVC)의 C가 나타내는 염소(chlorine)이 문제가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렇게 비염소비닐은 폴리염화비닐(PVC) 속 염소를 제거하고 다른 원소들로 대체함으로써 같은 성질을 나타내면서도 환경 오염은 줄일 수 있게 변형이 되었다. 최근 환경호르몬을 배출하지 않고 재활용 가능한 PET소재의 비염소 소재의 시트지가 개발되고 있으며 일부 업체 에서 판매 중에 있다.
42 42
43
-실크스크린
43
+#### 실크스크린
44 44
실크 스크린은 스텐실과 유사한 판화 기법으로 판의 미세한 구멍으로 잉크를 통과 시켜 일정한 도안 및 글자를 인쇄하는 방법이다. 작업의 특성상 사이즈가 큰 그래픽 요소에는 적당하지 않으나 미세한 표현까지 인쇄가 가능하고 종이가 아닌 벽면이나 천, 좌대, 곡면 인쇄가 가능해 작품의 캡션, 전시장 입구의 전시 설명 등 가로세로 1m를 넘어가지 않는 범위에서 시트지를 대체할 수 있다.
45 45
판(나무 및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판과 폴리에스테르 천으로 구성된)은 (수성)잉크 사용 후 물로 세척하여 판을 재사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유성잉크 사용시 용매 및 세척 용도로 고독성의 물질 자일렌 (Xylene, 이하 XY)이 사용되기도 하니 주의가 필요하다. 잉크 세척 과정 등을 생각하면 실크 스크린 또한 완벽히 친환경적 대안이라고는 할 수 없다.
46 46
47 47
![실크스크린](./uploads/part3-11.jpg)
48 48
49
-UV 평판 프린트
49
+#### UV 평판 프린트
50 50
UV 평판 프린트는 벽지, 합판, 타일, 유리, 아크릴, 알루미늄, 석고보드 등 소재에 제한이 적고 휘발성 유기 화합물이 첨가되지 않은 친환경 방식으로 건축, 인테리어 분야에 폭넓게 사용이 가능한 새로운 방법이다.
51 51
52
-레이저 및 CNC 가공
52
+#### 레이저 및 CNC 가공
53 53
시트커팅 또한 레이저 가공의 한 방법이긴 하나 종이, 목재, 알루미늄 등의 재료에 커팅, 인그레이빙, 마킹 등의 방식을 활용하여 시트지의 사용을 대체할 수 있다.
54 54
55
-기타
55
+#### 기타
56 56
전시 및 작품 설명 등은 손으로 직접 쓰거나 종이 프린트로 대체할 수 있으며, 최근 QR코드 사용이 대중화되며 정보를 인쇄물이 아니라 온라인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 전시에서도 자주 사용하고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57 57
58 58
59 59
## 현수막
60 60
현수막(Banner)은 행사, 정당, 시민단체, 학원, 음식점 등의 다양한 분야의 홍보용으로 거는 넓고 튼튼한 긴 직사각형 모양의 천이다.
61 61
62
-주 소재
62
+### 주 소재
63 63
현수막의 천 소재는 '그래픽원단'이라고도 불리는 폴리에스터(Polyester) 원단으로 폴리에스터 섬유원단은 표면 흡수성이 뛰어나 출력시 번지지 않으며 내구성이 강하다. 안료용은 내수성 및 내마모성이 탁월하여 옥외광고용에 적합하며, 염료용은 색상이 선명하여 옥내용 광고물 제작에 적합한 장점이 있다.
64 64
65
-전시에서의 현수막 사용
65
+### 전시에서의 현수막 사용
66 66
현수막은 전시의 주최와 규모에 따라 사용 범위가 다양하나 주로 미술관 외벽의 대형 현수막과 가로형 배너, 가로등 배너, 로비 앞이나 매표소 등에 사용된다. 비엔날레와 같이 이벤트 기간이 길고 대규모의 (국제) 전시일수록 사용되는 수량과 게재되는 장소는 급격히 늘어난다.
67 67
68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요인
69
-재사용성
68
+###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요인
69
+#### 재사용성
70 70
현수막은 일반적으로 특정 이벤트를 위해서만 사용되므로 그 외의 사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이벤트가 진행되는 기간이 짧을수록 현수막의 반-환경성도 증가한다.
71 71
72
-재활용성
72
+#### 재활용성
73 73
일회용에 가까운 현수막은 재활용이 안돼 소각/매립 처리 된다. 현수막을 소각할 경우에는 이산화탄소와 다이옥신 등 유해물질들이 발생하며, 매립할 경우에도 현수막에 사용된 염료로 인한 토양오염을 일으킨다.
74 74
현수막의 처리비용은 톤당 30만원(2021년 3월 폐합성수지 처리가격), 기술원에 따르면, 21톤 현수막의 폐기를 위한 처리에는 약 28억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된다.
75 75
76
-내재에너지
76
+#### 내재에너지
77 77
폴리에스터 섬유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에너지는 아마(Flax)를 사용한 리넨(linen)의 약 12배, 면의 약 2.5배 가량이 높게 나타난다.
78 78
79 79
![폴리에스터내재에너지](./uploads/part3-2.png)
80 80
81 81
82 82
83
-대안
84
-제작 최소화 & 미디어보드 활용
83
+### 대안
84
+#### 제작 최소화 & 미디어보드 활용
85 85
현수막은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한 크기의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가격 대비 효율적인 대체제를 찾기는 쉽지 않다. 또한 생분해 가능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소재 폴리락틱애시드(Poly Lactic Acid, 이하 PLA)의 경우 또한 폐기 과정이 여전히 완벽한 대안이라 하기 어렵다. 대부분의 사용 목적이 홍보용임을 감안한다면 꼭 필요한 장소와 수량인지 재고하고 고정된 장소에 설치될 경우 현수막 대신 미디어보드를 사용하여 전시마다 파일을 교체하는 것이 폐기과정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과 환경오염을 감소시키는 대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86 86
87
-업사이클링
87
+#### 업사이클링
88 88
폐현수막은 농가에서 보온덮개로 재사용 하기도 하고, 최근에는 사용한 현수막을 업사이클링하는 움직임들이 있어왔다. 폐현수막을 활용해 에코백, 자루, 신발 주머니 등 각종 가방 형태나, 선풍기 싸개, 앞치마 등 방수천 등 생활에서 유용한 물건을 만들기도 하고, 새끼줄 꼬듯 꼬아 밧줄로 제작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업사이클의 경우 폐기 시기를 늦추는 것이지 근본적인 환경 오염을 개선하는 방안은 아니다.
89 89
90
-폴리락틱애시드(PLA) 현수막 사용
90
+#### 폴리락틱애시드(PLA) 현수막 사용
91 91
폴리락틱애시드(PLA)는 옥수수전분이나 사탕수수 등 식물 자원에서 추출한 젖산을 이용해 실을 뽑아 섬유를 만드는 기술로, 이처럼 식물성 수지 필름을 사용해 현수막을 제조하는 업체가 생겼다.
92
+
92 93
PLA 현수막은 천연 식물성 소재의 사용으로 자연순환 가능성을 제시하고 인체에 무해한 소재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소각시 석유화학제품에 비해 이산화탄소 발생량의 감소로 지구온난화 방지와 매립시 빠른 자연분해의 장점을 갖고 있다. 하지만 이런 생분해 플라스틱은 특정 온도와 습도의 퇴비화 조건에서 자연계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된다는 특징으로 환경표지 인증을 받아 친환경 제품으로 소개되는 것인데, 현재 대부분 종량제봉투에 버려지고 소각되므로 실상 폐기 후 처리과정이 친환경적이라고 말하기는 어렵다. 또한 재활용 쓰레기도 분리 배출할 경우 재활용 선별 처리에 대한 기준이 분명하지 않아 대책이 필요하다.
93 94
94
-천 인쇄
95
+#### 천 인쇄
95 96
방수 기능을 일부 포기하고 광목 등 천연 패브릭 소재에 인쇄하여 현수막으로 활용하는 방법이 있다. 인쇄 기술의 발전으로 문제로 지적되던 발색 등 인쇄 품질도 큰 차이가 없다. 천연소재라 하더라도 인쇄 과정을 거친 패브릭은 재활용이 완벽하게 될 수는 없겠지만 소각 매립 과정에서 환경에 해를 덜 끼치는 방법이라 할 수 있겠다. 특히 방수 기능이 특별히 필요 없는 실내 설치의 경우 추천할 수 있는 방법이다.
96 97
97 98
98
-
99 99
## 우편발송물
100
-전시에서 우편발송 현황
100
+
101
+### 전시에서 우편발송 현황
101 102
최근 많은 전시들이 온라인 홍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는 만큼 기존의 우편발송 비율은 감소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여전히 국공립기관이나 규모가 큰 미술관은 초청장, 리플렛, 도록 등을 우편발송하고 있다.
102 103
103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
104
-일회용품 사용
104
+###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원인
105
+#### 일회용품 사용
105 106
우편물을 발송하기 위해 부가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비닐봉투, 종이봉투, 테이프, 스티커 등이 사용되고, 경우에 따라서 진행되는 전시를 위해 따로 인쇄 및 제작을 하기도 한다. 도록의 우편발송을 위해서는 완충재 및 포장재 사용이 추가로 발생한다.
106 107
107
-교통
108
+#### 교통
108 109
전 세계 온실가스의 16%가 교통에서 나온다고 한다. 도로 교통에서 발생하는 비율이 96%가 넘는 원인을 차지하고 있고 그 중 승용차가 온실가스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48%, 택배를 포함한 각종 화물차가 35%를 차지한다. 초대장 발송에 따른 우편서비스는 배송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배출이 필연적이다.
110
+
109 111
우편 서비스는 특성상 에너지 다소비 수송 서비스로 우편물 1개당 이동 거리를 10km로 환산했을 때의 CO2 발생량은 2.4kg, 필요한 소나무는 0.4그루다.
110 112
111
-대안
113
+### 대안
112 114
초청장, 리플렛 등은 우편발송을 지양하고 이메일 또는 MMS 발송 및 모바일 초대장을 활용하는 등 온라인 중심으로 홍보 방안 재편할 필요가 있다.
113 115
114
-
115 116
## 오프닝 리셉션
116 117
코로나19 이후 모임과 행사가 전면 취소되며 오프닝 행사가 거의 없어지다시피 했지만 오프닝 리셉션은 전시의 규모를 떠나 관례적으로 행해지고 있다.
117 118
118
-자주 등장하는 메뉴
119
+### 자주 등장하는 메뉴
119 120
오프닝 리셉션은 주로 음료와 함께 먹기 간편한 핑거푸드 중심으로 구성되어있다. 자주 등장하는 메뉴로는 물, 주스 2종, 화이트와인, 레드와인, 맥주 등의 음료와 카나페, 콜드 파스타, 치즈 꼬치, 과일 꼬치, 미니 샌드위치, 쿠키, 과일, 주먹밥, 샐러드 등이 있다.
120 121
121
-사용되는 일회용품
122
+### 사용되는 일회용품
122 123
오프닝 리셉션의 특성상 컵이나 접시 등도 음식이나 음료를 담을 때마다 용기를 바꿔 사용하는 경향이 있어 1인당 기본적으로 2~3개의 용기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재사용이 가능한 용기도 음식물이 묻어 있어 무분별하게 버려진다.
123 124
124 125
- 개별 포장
... ...
@@ -130,42 +131,40 @@ PLA 현수막은 천연 식물성 소재의 사용으로 자연순환 가능성
130 131
- 냅킨
131 132
- 젓가락, 숟가락, 포크
132 133
133
-대안
134
-개인용 수저와 텀블러 등의 지참
134
+### 대안
135
+#### 개인용 수저와 텀블러 등의 지참
135 136
개인용 수저와 텀블러 등의 지참을 권유하는 안내를 사전에 공지함으로써 오프닝 리셉션에서 소비되는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는 것이 최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제스처는 환경을 고민하는 기관의 태도를 보여주는 동시에 개인들의 행동 양식을 변화시키는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136 137
137
-다회용 식기 사용
138
+#### 다회용 식기 사용
138 139
식기 세척 등의 인력이 없을 경우, 다회용 식기의 대여-수거-세척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를 이용하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다. 이를 통해 ‘함부로 버리지 않는 라이프 스타일’ 을 만드는 데 일조할 수 있다.
139 140
140
-생분해 제품 사용
141
-낙엽 접시
141
+#### 생분해 제품 사용
142
+##### 낙엽 접시
142 143
미국의 베르테라(VerTerra)라는 회사에서 처음 만든 낙엽으로 만든 접시는 일회용종이컵이나 여타의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과는 달리 별도의 화학약품등의 첨가물이 없이 만들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수집한 낙엽을 열에 가한 후 압착하는 과정으로 만들어진다고 한다. 폐기 후 60일이내에 생분해 비료화 되며 화학 첨가물이 없기에 소각되는 경우에도 유해성분이 덜 배출된다.
143 144
144 145
![낙엽접시](./uploads/part3-13.jpg)
145 146
146
-감자 전분으로 만든 접시
147
+##### 감자 전분으로 만든 접시
147 148
식품첨가물인 구아검과 감자 전분 등으로 만들어진 이 접시는 사용하고 난 뒤 원반을 던지듯 풀숲에 던져버리면, 새나 다람쥐가 먹을 수 있고 새가 먹지 않더라도 2주 가량 뒤에는 완전히 분해되는 성분으로 제작되었다.
148 149
149 150
![감자전분포크](./uploads/part3-14.jpg)
150 151
151
-PLA등으로 만든 대안 플라스틱 접시
152
+##### PLA등으로 만든 대안 플라스틱 접시
152 153
PLA등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용기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현수막 파트에서 언급했듯 PLA등 바이오 플라스틱은 식물성 재료로 만들어져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친환경적인 것은 맞다. 하지만 대부분 소각되는 재활용 봉투에 넣어 버려지고 생분해 조건에 맞춰 매립되는 폐기 기준이 매번 지켜지는 것이 아니므로 폐기 기준 마련이 시급한 문제가 남아있다. 이는 여타의 대안재료 또한 모두 가지고 있는 문제라 할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바이오 플라스틱은 옥수수 또는 그와 유사한 식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대안 플라스틱 사용이 더 확산될 경우 식량 재배를 위한 땅이 ‘플리스틱 재배'에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거대한 축산업의 사료를 만들기 위해 아마존 열대우림 등 산림을 파괴하여 그 땅에 옥수수를 재배하며 생긴 문제를 떠올리게 된다.
153 154
154 155
![식물유래생분해성 수지원료](./uploads/part3-12.jpg)
155 156
156
-각갑류 껍질에서 추출한 키틴으로 만든 대안 플라스틱
157
+##### 각갑류 껍질에서 추출한 키틴으로 만든 대안 플라스틱
157 158
영국의 스타트업 기업인 셸워크스(https://www.theshellworks.com/)의 바이오 플라스틱 용기가 화제가 되었고 최근 국내 연구진 또한 갑각류의 키틴 및 키토산 성분을 활용하여 땅에서 분해되는 비닐 개발을 성공했단 발표가 있었다. 미세 플라스틱 문제를 고려하면 이러한 다양한 연구를 환영할만 하지만, 동물성 성분이 포함된 제품인지는 체크할 필요가 있다.
158 159
159 160
![키틴으로 만든 플라스틱대체제](./uploads/part3-15%281%29.png)
160 161
161
-과자를 접시로 활용하는 방법
162
+##### 과자를 접시로 활용하는 방법
162 163
물기가 적은 음식과 디저트 중심의 간단한 케이터링에서는 넓은 모양의 뻥튀기 과자를 활용하여 일회용 접시처럼 이용할 수 있다. 편한 식기는 아니지만 쓰레기를 만들지 않으면서 재밌게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163 164
164 165
![생분해성 일회용기 제품](./uploads/part3-16.png)
165 166
166 167
167
-
168
-
169 168
(이미지 출처: 플러스네이처)
170 169
(이미지: 소셜 벤처기업 ㈜리와인드에서 생산한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 제품들
171 170
... ...
@@ -175,18 +174,18 @@ PLA등 생분해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용기가 많이 출시되
175 174
(이미지 출처: https://slowalk.com/852)
176 175
177 176
178
-오프닝 리셉션의 간소화
177
+#### 오프닝 리셉션의 간소화
179 178
오프닝 리셉션은 손님을 ‘배불리 대접해야 한다’는 한국의 문화적 관습상 마실 것과 먹을 것의 종류와 양도 다양하게, 소위 ‘푸짐하게’ 준비한다. 코로나19 이후 오프닝 행사가 사라지며 그동안 이것들이 관례적으로 행해지고 있었다는 것을 더욱 느낀다. 이 기회로 전시에 필요한 이벤트인지 재고하고 필요할 경우 규모를 간소화하는 다양한 시도를 해볼 수 있을 것이다.
180 179
181 180
![오프닝리셉션좋은예시](./uploads/part3-17.png)
182 181
- 2017년 헬싱키에 위치한 갤러리 Lokal에서 열린 전시, Typocraft seoul to helsinki 오프닝 리셉션에서는 전시 제목인 ‘T’ 모양으로 구운 큰 빵이 준비 되어 있었고 원하는 관객들은 먹을만큼 조금씩 잘라 집어 먹었다. ‘먹는’ 행위에 초점을 맞춘 대신 전시를 기념하고 기억하게 만들면서도 쓰레기를 발생시키지 않는 오프닝 리셉션의 좋은 예시라고 할 수 있다.
183 182
184
-채식 메뉴 구성
183
+#### 채식 메뉴 구성
185 184
기후 변화의 가장 큰 원인은 온실가스 배출이며 가장 심각한 분야가 축산업이다. 인간 활동으로 배출되는 모든 온실가스 중 축산업으로 인한 배출 비중이 18%로 운송업으로 인한 배출 비중(13.5%)보다 높고 한다. 채식은 기후와 환경 문제를 비롯, 동물권, 건강 등의 이슈와 연결하여 최근 더 자주 다뤄지고 있다. 오프닝 리셉션을 비건 메뉴로 구성하는 것은 이런 문제들을 고민하면서 동시에 관객들의 개인적 취향, 질병 및 장애 유무, 정치적 지향 등을 배려하기 위해 노력한다는 의지를 담을 수 있다.
186 185
187 186
![온실가스배출식품생산비중](./uploads/part3-18%28%E1%84%8E%E1%85%A2%E1%84%89%E1%85%B5%E1%86%A8%29.png)
188 187
189
-각종 인쇄물
188
+## 각종 인쇄물
190 189
전시에서의 인쇄물 발행
191 190
홍보용 인쇄물: 포스터, 리플렛, 초대장, 초대용 엽서
192 191
전시 운영: 플로어 플랜, 전시 서문, 종이티켓

태양광 웹 서버

배터리 남은 용량: %
배터리 전압: V
전기 사용: Watt
서버 시간:
가동 시간:
날씨(구름량):
위치: 위도 37.493423, 경도 126.834054

제로의 예술

바림 (광주광역시 동구 대의동 80-2 3층)
여성을 위한 열린 기술랩 (서울시 중구 을지로 157 대림상가 세운메이커스큐브 대림-동측 306호)

2021 아르코 융복합 예술 페스티벌 《횡단하는 물질의 세계》
2021 ARKO Art & Tech Festival Nothing Makes Itsel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