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d13181666ec0f4bd14b25a0b2065db1f4dec98b
\353\266\200\353\241\235.md
... | ... | @@ -4,10 +4,10 @@ |
4 | 4 | |
5 | 5 | |
6 | 6 | |
7 | - 폐기물 |
|
7 | + ##폐기물 |
|
8 | 8 | |
9 | 9 | |
10 | -폐기물 종류 |
|
10 | +###폐기물 종류 |
|
11 | 11 | |
12 | 12 | * 폐기물의 정의 |
13 | 13 | 쓰레기, 연소재, 오니 , 폐유, 폐산, 폐알칼리 및 동물의 사체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없게 된 물질. 폐기물관리법에 따라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로 분류된다. |
... | ... | @@ -76,6 +76,7 @@ |
76 | 76 | |
77 | 77 | |
78 | 78 | B. 재료별 내재에너지 비교 |
79 | + |
|
79 | 80 | 재료별 내재에너지를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는 내재에너지를 추적한 데이터베이스가 없는 관계로, 호주와 영국의 연구결과를 인용하여 정리하였다. 국가 별 제조산업의 규모나 지리학적 특성에 따라 내재에너지 값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절대적인 수치를 참고하기보다는 재료들 간의 상대적인 비교를 위한 용도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재료 간의 비교로써 다음의 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재료의 밀도를 적용하여 표의 내재에너지(MJ/kg)를 부피(MJ/m³)나 시공면적(MJ/m²)으로 환산하여 실제적인 대체효과를 고려해봐야 한다. |
80 | 81 | |
81 | 82 | | 재료 | | 내재 에너지(MJ/kg) | | | |
... | ... | @@ -143,9 +144,11 @@ B. 재료별 내재에너지 비교 |
143 | 144 | |
144 | 145 | |
145 | 146 | C. 국내의 친환경 평가 제도 |
146 | -여기에서는 국내의 친환경 평가∙인증 프로그램들을 소개하고, 각 제도의 마크가 의미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
147 | -친환경 마크는 여러 제품들 사이에서 환경적으로 더 양호한 제품을 선택하는 데 분명 효과적인 지침의 역할을 하지만, 이는 친환경 제품이 여러 환경적 문제를 일소할 수는 없다는 점을 먼저 인지하는 한에서만 제대로 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더 나은’ 제품이라기보다는 ‘덜 해로운’ 제품인 것이다. 가장 친환경적인 선택은 기존의 제품을 최대한 오래 다시 사용하고 궁극적으로 제품의 소비 자체를 줄이는 것임을 알고 있는 것이 ‘친환경’을 대하는 바람직한 태도일 것이다. |
|
148 | 147 | |
148 | +여기서는 국내의 친환경 평가∙인증 프로그램들을 소개하고, 각 제도의 마크가 의미하는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
149 | +친환경 마크는 여러 제품들 사이에서 환경적으로 더 양호한 제품을 선택하는 데 분명 효과적 지침 역할을 한다. 다만 이는 친환경 제품이 여러 환경적 문제를 일소할 수는 없다는 점을 먼저 인지하는 한에서만 제대로 된 의미를 가진다. ‘더 나은’ 제품이기보다 ‘덜 해로운’ 제품인 것이다. 가장 친환경적인 선택은 기존 제품을 최대한 오래 다시 사용하고 궁극적으로 제품의 소비 자체를 줄이는 것임을 아는 것이 ‘친환경’을 대하는 바람직한 태도다. |
|
150 | + |
|
151 | + |
|
149 | 152 | 환경표지 |
150 | 153 | |
151 | 154 | 환경표지는 국가(환경부)가 시행하는 자발적 인증제도로서, 제품의 전과정(원료취득, 제조, 유통⋅사용⋅소비, 폐기, 재활용)에서의 종합적 환경성을 선별해 인증한다. 페인트, 접착제, 마감재, 용지 등 총 169개의 종류로 제품을 구분하여, 각 종류마다 유해물질 사용/배출 감소, 실내공기/대기 오염물질 배출 감소, 자원/에너지 절약, 재활용성 향상, 생태계 독성 감소 등을 평가하는 기준을 가지고 있다. 인증 유효기간은 3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