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ea2b6d27ddfcf6bbd8047ab8147153eb65d46d7
\353\266\200\353\241\235.md
... | ... | @@ -79,7 +79,7 @@ B. 재료별 내재에너지 비교 |
79 | 79 | 재료별 내재에너지를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는 내재에너지를 추적한 데이터베이스가 없는 관계로, 호주와 영국의 연구결과를 인용하여 정리하였다. 국가 별 제조산업의 규모나 지리학적 특성에 따라 내재에너지 값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절대적인 수치를 참고하기보다는 재료들 간의 상대적인 비교를 위한 용도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재료 간의 비교로써 다음의 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재료의 밀도를 적용하여 표의 내재에너지(MJ/kg)를 부피(MJ/m³)나 시공면적(MJ/m²)으로 환산하여 실제적인 대체효과를 고려해봐야 한다. |
80 | 80 | |
81 | 81 | | 재료 | 내재 에너지(MJ/kg) | |
82 | -| ---- | ------- | |
|
82 | +| ---- | ------- | ------ | |
|
83 | 83 | | 분류 | 명칭 | Lawson 1996, 호주 | Bath 대학 2008, 영국 | Melbourne 대학 2019, 호주 | |
84 | 84 | 고무 |
85 | 85 | 천연고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