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f151a26e1e8d86aa51e84a63c856574e90a2ecf
\354\240\204\354\213\234\354\236\245\354\241\260\354\204\261.md
... | ... | @@ -4,7 +4,7 @@ |
4 | 4 | |
5 | 5 | 이 장에서는 전시장의 공간구조물을 조성할 때 일반적으로 쓰이는 자재들을 알아보고 각 과정에서 대체할 수 있는 재료 혹은 제품들 사이의 차이점과 각 재료의 선택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고자 한다. |
6 | 6 | |
7 | -재료 또는 제품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는 '탄소발자국’, ‘내재 에너지’, ‘내재 물사용량’, ‘전 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이하 LCA)’ 등이 있는데, 이 매뉴얼에서는 재료 간의 환경영향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으로 내재 에너지*를 사용했다. |
|
7 | +재료 또는 제품이 환경에 끼치는 영향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로는 '탄소발자국’, ‘내재 에너지’, ‘내재 물 사용량’, ‘전 과정 평가(life cycle assessment, 이하 LCA)’ 등이 있는데, 이 매뉴얼에서는 재료 간의 환경영향을 비교하기 위한 기준으로 내재 에너지*를 사용했다. |
|
8 | 8 | |
9 | 9 | 석고보드, 페인트와 같이 공산품으로 공급되는 재료들은 국내의 친환경 인증 취득 여부를 통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로 기록했다. |
10 | 10 | |
... | ... | @@ -12,13 +12,13 @@ |
12 | 12 | |
13 | 13 | * 내재 에너지(embodied energy)란 |
14 | 14 | 상품/서비스를 자연상태의 원재료에서 최종적인 결과물로 만드는 데 필요한 에너지의 총합을 산출하는 개념으로, 화석연료 소비량 또는 탄소발자국과 유사한 경향성을 가진다. 반면 상품의 생산과정에서 발생되는 유해물질/부산물 등을 처리하는 데 쓰이는 에너지나 쓰임을 다한 상품을 폐기하는 데 드는 에너지는 내재 에너지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폐기과정까지 아우르는 전체 생애주기에 대한 온전한 평가를 위한 지표로는 충분치 않다는 한계가 있다. |
15 | -내재 에너지를 비롯하여, 제품의 환경영향 정도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원재료 수집부터 운송, 생산과정, 폐기과정 등의 전과정을 상향식/하향식으로 추적하여 얻은 전방위적 자료가 필요한데 이는 정부와 연구기관의 협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국내에는 재료/제품의 환경영향에 관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가 전무[<sup id="footnote-main">12</sup>](#fn12)한 실정으로 본 매뉴얼에서는 해외(영국, 호주)의 데이터베이스를 재료 간 환경영향 상대적인 비교에 사용하였다. |
|
15 | +내재 에너지를 비롯하여, 제품의 환경영향 정도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원재료 수집부터 운송, 생산과정, 폐기과정 등의 전 과정을 상향식/하향식으로 추적하여 얻은 전방위적 자료가 필요한데, 이는 정부와 연구기관의 협력 없이는 불가능하다. 국내에는 재료/제품의 환경영향에 관하여 구축된 데이터베이스가 전무[<sup id="footnote-main">12</sup>](#fn12)한 실정으로 본 매뉴얼에서는 해외(영국, 호주)의 데이터베이스를 재료 간 환경영향 상대적인 비교에 사용하였다. |
|
16 | 16 | |
17 | 17 | |
18 | 18 | ## 목공재료 |
19 | 19 | |
20 | 20 | ### 각재 |
21 | -전시 가벽이나 좌대 등 구조적인 뼈대를 만드는 과정에서 소위 ‘다루끼’, ‘투바이’라고 하는 목재를 사용한다. 이들 각재는 목재의 원산지와 종류, 생산방식, 건조방법에 따라 나눌 수 있다. |
|
21 | +전시 가벽이나 좌대 등 구조적인 뼈대를 만드는 과정에서 소위 '다루끼', '투바이'라고 하는 목재를 사용한다. 이들 각재는 목재의 원산지와 종류, 생산방식, 건조방법에 따라 나눌 수 있다. |
|
22 | 22 | |
23 | 23 |  |
24 | 24 | |
... | ... | @@ -28,7 +28,7 @@ |
28 | 28 | 러시아산 소나무를 일컫는다. 미송보다 단가가 높지만, 옹이의 개수와 휨이 적어 대부분의 실내공사에서 주로 사용된다. |
29 | 29 | |
30 | 30 | ##### 미송 |
31 | -북미산 소나무를 일컫는다. 각재는지리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운반과정에서의 탄소발자국을 낮추기 위해서는 소송을 쓰는 것이 더 유리하다. |
|
31 | +북미산 소나무를 일컫는다. 각재는 지리적인 측면에서 봤을 때 운반과정에서의 탄소발자국을 낮추기 위해서는 소송을 쓰는 것이 더 유리하다. |
|
32 | 32 | |
33 | 33 | #### 생산방식에 따른 분류 |
34 | 34 | |
... | ... | @@ -36,7 +36,7 @@ |
36 | 36 | 베어낸 그대로 가공하지 않은 목재다. |
37 | 37 | |
38 | 38 | ##### 집성재 |
39 | -가공목재로, 길이나 두께가 최종 상품의 크기에 미치지 못하는 재료들을 같은 결 방향으로 접착시켜 만든 가공목재이다. 접착제를 바르고 열로 압착하는 ‘집성’ 과정에서 원목에 비해 유기화합물과 탄소발자국이 늘지만, 잔재들을 활용하기 때문에 재활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
|
39 | +길이나 두께가 최종 상품의 크기에 미치지 못하는 재료들을 같은 결 방향으로 접착시켜 만든 가공목재이다. 접착제를 바르고 열로 압착하는 ‘집성’ 과정에서 원목에 비해 유기화합물과 탄소발자국이 늘지만, 잔재들을 활용하기 때문에 재활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
|
40 | 40 | |
41 | 41 | ##### 엘브이엘(LVL) |
42 | 42 | 엘브이엘(Laminated Veneer Lumber, 이하 LVL)은 나무 널빤지를 직교방향으로 켜켜이 접착시켜 만든 합판을 각재 규격으로 재단한 것이다. 휨이 적고 함수율(목재 속 수분 함유율)이 낮은 장점이 있으나, 집성재와 마찬가지로 접착 및 압착 과정에서 유기화합물과 탄소발자국을 남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