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84515826b2a3c129d370e8949cf2ac04185d0f5
\353\266\200\353\241\235.md
... | ... | @@ -69,8 +69,7 @@ |
69 | 69 | |
70 | 70 | 그렇다면, 전시장에서 여러 폐기물을 배출할때 이 폐기물이 재활용 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은 무엇일까? 아래는 전시장에서 나올 법한 폐기물들을 품목별로 크게 도식화하여 최대한 폐기 이후에 재활용이 가능한 형태로 폐기하는 방법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것 역시 폐기물이 재활용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식이며, 정확한 것은 해당 지역의 지자체에 문의할 필요가 있다. |
71 | 71 | |
72 | - |
|
73 | - |
|
72 | + |
|
74 | 73 | |
75 | 74 | |
76 | 75 | |
... | ... | @@ -79,13 +78,9 @@ |
79 | 78 | B. 재료별 내재에너지 비교 |
80 | 79 | 재료별 내재에너지를 정리한 표는 다음과 같다. 국내에는 내재에너지를 추적한 데이터베이스가 없는 관계로, 호주와 영국의 연구결과를 인용하여 정리하였다. 국가 별 제조산업의 규모나 지리학적 특성에 따라 내재에너지 값은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절대적인 수치를 참고하기보다는 재료들 간의 상대적인 비교를 위한 용도로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재료 간의 비교로써 다음의 표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 재료의 밀도를 적용하여 표의 내재에너지(MJ/kg)를 부피(MJ/m³)나 시공면적(MJ/m²)으로 환산하여 실제적인 대체효과를 고려해봐야 한다. |
81 | 80 | |
82 | -재료 |
|
83 | -내재 에너지(MJ/kg) |
|
84 | -분류 |
|
85 | -명칭 |
|
86 | -Lawson 1996, 호주 |
|
87 | -Bath 대학 2008, 영국 |
|
88 | -Melbourne 대학 2019, 호주 |
|
81 | +| 재료 | 내재 에너지(MJ/kg) | |
|
82 | +| ---- | ------- | |
|
83 | +| 분류 | 명칭 | Lawson 1996, 호주 | Bath 대학 2008, 영국 | Melbourne 대학 2019, 호주 | |
|
89 | 84 | 고무 |
90 | 85 | 천연고무 |
91 | 86 |